본문 바로가기

Unix

(6)
3-5강 - 실습 5 (파일 내부 출력하기) 7. 파일 내부 출력하기 1) 파일 만들기 1> vi employee 2> 파일 내부 cf> 그래서 'cat employee' 로 아래와 같이 파일 내부를 볼 수 있다. 2) 특정 text를 포함하는 line 찾기 1> 1개 text 찾기(1) - grep text - 파일을 여는 pipe와 grep을 연결한다. - cat employee | grep amit 2> 1개 text 찾기(2) - egrep -i "text" - grep과 다른 점은 '-i'가 필요하고 큰따옴표로 찾고자하는 text를 감싼다. 3> 2개 text 찾기 - egrep -i "text1|text2" - '|'는 or와 같아서 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line을 출력 3) 내가 원하는 대로 출력 - awk 이용 1> awk ..
3-4강 - 실습 4 (함수) 6. 함수 1) 파일 만들기 2) shell 0> 'i'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 1> shell programming은 항상 맨 위에 '#!/bin/bash'을 적어야 한다. 3) 파일 내부 함수 1> 함수명() { 내부 함수 } : 기존 C언어 문법과 유사하다. 2> 그리고 파일 내부에서 함수를 실행할 수 있다. 4) 마무리 과정 1> 'chmod u+x if' : 실행 가능한 파일로 변경하기 2> ./func : func 파일 실행 실행 이후
3-3강 - 실습 3 (조건문, 반복문) 4. 조건문 1) 파일 만들기 2) shell 0> 'i'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 1> shell programming은 항상 맨 위에 '#!/bin/bash'을 적어야 한다. 3) shell 내부 if 문 1> 구조 - if [조건문] (조건문 전후로 공백을 줘야 한다.) - then 이후 : (조건문 만족 시에 실행할 부분 - else 이후 : 조건문 불만족 시에 실행할 부분 - fi : 조건문이 끝났음을 알려준다. 2> 추가 문법 - $# : 입력 받은 parameter의 개수 - $1 : 파일 실행과 함께 입력 받을 첫 번째 parameter - -eq : '==' 과 같은 표현이다. 3> 마무리 과정 (콜론 모드로 전환) - 'esc' 누르고 - ':'을 누르고 - 명령어(wq: 저장하고 종료..
3-2강 - 실습 2 (shell programming 기초) 3. shell programming 기초 1) 파일 만들기 2) shell 0> 'i'를 눌러 입력 모드로 전환 1> shell programming은 항상 맨 위에 '#!/bin/bash'을 적어야 한다. 2> 파일 내부에 작성할 것 작성하기 3> 'esc' 누르고 ':' 을 누르고 4> 명령어 입력 cf> 파일 내부 1> read : 입력 받는 명령어 (C의 scanf와 유사) 2> $name : name을 변수로 해석하겠다. (명령어로 해석하지 않는다.) 3> "text" : 치환이 발생한다. (ex> text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로 인식) 4> 'text' : 치환이 일어나지 않는다. (ex> text에 명령어를 입력해도 문자열로 인식) 5> 1번째 예시처럼 $name과 '님'을 붙이고 싶..
3-1강 - 실습 1 (기초 문법, 파일로 입력, pipe) 1. 기초 1) 출력 echo 2) 파일로 저장 > echo "Hello" > file1 // file1에 "Hello"가 저장된다. 3) 현재 폴더 안에 어떤 파일이 있는지 출력 ls ls >>> file1 4) 현재 파일 안의 내용을 보기 cat 5) 파일 안에 내용 덧붙이기 >> cf> 파일 안이 비어있지 않을 때 > 새로 쓰게 된다. - 원래 "Hello"와 "World"는 file1에서 사라진다. - 그리고 "abc"를 file1에 새로 쓴다. ※ 비유적 이해 1) echo: print 2) cat: 내부를 print 3) >: w모드 4) >>: rw모드 2. 파일을 통해 입력 & pipe cf> sort 1> 명령어 2> 입력받은 것을 정렬해준다. 3> Ctrl+d가 나올 때까지 입력 받는다..
1강 - Unix System의 기초 1. Unix 1) Unix란? OS 중 하나 1> 중대형 컴퓨터 및 work station에서 많이 사용하는 OS (Linux - 일반 PC에서 주로 사용되는 Unix) 2> 현대의 윈도우 계열이 아닌 리눅스, 안드로이드, macOS, iOS 등의 많은 운영 체제가 유닉스를 그 뿌리로 하고 있다. 2) 접속 방법 1> 원격 접속 방법 - telnet - ssh 2> 터미널 접속 방법 -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와 키보드, 마우스를 통해 연결 3> 일반 사용자 - 보통 Unix System에 접속하기 위해서 보통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사용 ex> zterm, putty, SSH Secure Shell Client, SecureCRT, Xmanager 2. Shell 1..